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% 환급 이벤트

by 써니*^^ 2025. 7. 12.
반응형

전통시장의 모습

 

정부는 전통시장과 지역 소상공인을 지원하고자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운영 중이며, 2025년에도 10%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가 시행되고 있습니다.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란?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발행하는 모바일 전자상품권으로,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간편하게 모바일로 결제할 수 있는 수단입니다.

지류 상품권과 달리 스마트폰 앱에서 충전 후 QR코드로 결제가 가능해 젊은 세대는 물론, 어르신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소비지원 정책입니다.

2025년 10% 환급 이벤트 개요

항목 내용
이벤트 명칭 2025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% 환급 이벤트
운영 기관 중소벤처기업부 /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
이벤트 기간 2025년 4월 1일 ~ 예산 소진 시까지
구매 대상 개인 (내국인) — 1인 1개월 최대 100만 원 구매 가능
환급 비율 구매 금액의 10% 환급 (월 최대 10만 원 환급)
환급 방식 자동 차감 또는 사후 캐시백 (앱별 상이)
사용처 전국 전통시장, 상점가, 제로페이 가맹점 등

 

10% 환급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?

2025년에는 두 가지 환급 방식이 병행되고 있습니다:

① 즉시 할인형 (자동 차감)

  • 구매 시 상품권 가격의 10%를 즉시 할인
  • 예: 10만 원 상품권 → 9만 원 결제

② 캐시백형 (사후 환급)

  • 구매 시 정상가 결제 후 10% 금액이 며칠 후 자동 환급
  • 예: 10만 원 결제 → 1만 원 환급 (앱 캐시 또는 계좌 입금)

💡 앱별로 적용 방식이 다르니, 반드시 앱 공지를 확인하세요.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구매 가능한 앱

다음의 제로페이 연동 앱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:

  • 비플제로페이
  • 신한 pLay
  • NH올원뱅크
  • 하나머니
  • 페이코(Payco)
  • 머니트리
  • KB Liiv M
  • 핀크(Finnq)
  • 기업은행 i-ONE뱅크
  • BNK부산은행, DGB대구은행 등

구매 방법 요약:

  1. 앱 설치 및 제로페이 인증
  2. 온누리상품권 메뉴 클릭
  3. 금액 선택 후 결제
  4. 앱 내 충전 → QR로 결제

사용 가능한 장소는?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다음 장소에서 사용 가능합니다:

  • 전국 전통시장 (남대문, 광장시장, 서문시장 등)
  • 지역 상점가, 중소 소매점
  • 제로페이 가맹 음식점, 미용실, 카페 등 일부 업종
  • 지자체 연계 행사장

유의사항 (2025년 기준)

  • 법인/사업자 명의 계좌는 구매 불가
  • 1인당 월 구매한도는 100만 원
  • 지류 상품권과 중복 사용 가능 (단, 할인/환급은 디지털 전용)
  • 예산 조기 소진 시 이벤트 조기 종료 가능
  • 환불 시 환급 혜택 자동 취소 및 회수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편의점이나 마트에서도 결제 가능한가요?
일부 제로페이 가맹 편의점 및 중소 마트에서는 가능하나, 대형마트(Costco, 이마트 등)는 불가합니다.

Q2. 환급은 언제 이루어지나요?
즉시 할인형은 구매 즉시 적용되며, 캐시백형은 일반적으로 2~5 영업일 이내 지급됩니다.

Q3. 지류 상품권과의 차이는?
지류는 종이 형태이고, 디지털은 앱 기반입니다. 10% 환급 이벤트는 디지털 상품권에만 해당됩니다.

 

2025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% 환급 이벤트는 단순한 혜택을 넘어, 전통시장 활성화와 지역경제 지원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입니다. 장바구니 물가가 오를수록 똑똑한 소비가 필요한 요즘, 온누리상품권으로 10% 절약하고 소상공인도 응원해 보시길 바랍니다.

 

동네 전통시장을 가면 가게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% 환급 이벤트 현수막이 있었습니다.  디지털 온누리 상권이 있다면 한번 이용해 보시는 거는 추천드립니다. 저도 종종 사용하는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라서 전통시장에 방문하여 사용해야겠습니다.

반응형